이슈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 잘하는 사람은 문제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 직업상 기업에서 오랜 기간 동안 관리자나 경연진과 함께 현재 회사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조사하고 해결하는 일들을 해 오고 있다. 안타가운 점은 거의 대부분의 회사들이 거의 유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여지 없이 매년 반복 된 다는 것이다. 왜 이렇게 동일한 문제들이 반복해서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것일까? 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근본적인 문제 원인이 해소 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조치가 되지 않는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는 근본 원인은 인지하고 있지만 지금 당장 처리해야 하는 일 때문에 뒤로 미루어 지기 때이다. 두 번째는 문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다. 전자의 경우 문제의 원인을 이미 알 고 있기 때문에 해결은 시간문제이다. 단지 문제 해결을 위한 자원의 배.. 더보기 조직의 냉소주의, 변화와 혁신을 가로막는다 많은 기업들은 변화와 혁신을 위해 아직도 제도나 시스템 구축에 많은 자원을 투자한다. 물론 제도나 시스템과 같은 혁신인프라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긴 하지만, 조직이 변화를 수용하고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무용지물에 불과하다. 변화와 혁신의 가장 큰 저해요인은 조직의 냉소주의이다. ‘조직 냉소주의(Organizational Cynicism)란‘해당 조직의 구성원들이 경영진, 정책, 제도, 변화 및 혁신 활동 등 조직 전반에 걸쳐 이유 없는 무관심이나 적대감, 극단적인 불신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냉소적 반응은 감정적 동요, 부정적 태도 및 행동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나타나며, 이러한 냉소주의를 없애는 것을 변화와 혁신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 조직 냉소주의는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며 다음.. 더보기 [BlogMBA 2] 경제적 조직의 조건 ▶ 경제적 조직을 결정하는 요인 기업(企業)은 기본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일이 있고, 그 일은 주주, 기업, 종업원의 가치를 만들어내기 위한 일이어야 한다. 가치를 만들기 위해 일을 수행하는 조직이 얼마나 경제적이냐 하는 문제는 사업환경, 사업모델, 그리고 전략적 선택 등도 크게 영향을 미치겠지만 운영의 관점에서 보면 기능모델, 프로세스 모델 및 조직모델 세 가지 요인이 작용하는 것 같다. 첫째는 업(業)의 특성에 맞게 수행해야 할 일이 얼마나 잘 정의 되어 있느냐 하는 것이다. 기업마다 사업내용과 방식이 다르다. 각자 처한 환경하에 각각의 사업목적과 사업모델(Business Model)에 적합한 일이 정의 되고 수행 되고 있는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는 조직에서 수행하는 일 이 효과적인가? (effe.. 더보기 [태백산 설경] 주목과 영롱한 햇살 태백산 눈꽃은 아무리 봐도 아름답다. 주목을 둘러싸고 있는 눈꽃에 와 닿는 영롱한 햇빛이 더욱더 아름다움을 더해 준다. 미처 다 정리 못한 사진 중 혼자 보기 아쉬운 사진이 있어 공유한다.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사진속 일상]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 더보기 마지막 남은 한주의 아침 [길상사] EOS 60D 올해도 마지막 한주가 남았다. 마지막 한주의 첫날 날씨는 몹시 춥지만 햇빛은 활기가 보인다. 마지막 한주 가리지 않고 온누리를 비추벼 따스한 볕으로 다가 오길 기원 해본다.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사진속 일상]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 더보기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