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속 일상(구)/매기의 추억 썸네일형 리스트형 평화와 소통의 도구--- 붉은 애송이 '밥 말리' 밥 말리-엑소더스 77 본격적인 더위 기세가 고빗사위다. "더워서 더위에 지치는 것도 피서지!"라며 너부러지는 지인의 모습이 오히려 더위를 베어 무는 듯 여유있어 보기 좋다. 짙 푸른 산 계곡과 소금기 가득한 바다의 시절이다. 그런 곳에서 듣는 음악이야 다 좋겠지만 시원하고 낙천적인 '레게'음악이라면 더욱 흥겨울 것이다. 지난 20일 레게의 전설 '밥 말리'의 삶과 음악을 다룬 다큐 의 시사회가 있었다고 한다. 8월 2일 개봉하기에 앞서 그의 음악을 다시 들어보며 더위를 잠시 잊는것도 피서이리라. 서인도 제도에 있는 조그만 섬나라 자메이카. 영연방의 작은 섬나라가 세계 대중 음악사에 차지하는 어떤 비중도 갖지 못했으나 밥 말리(Bob Marley)를 통해 한 획을 긋는다. 말리는 자메이카 수도 킹스턴의 .. 더보기 나는 올 여름 연꽃이 하는 일을 알고있다 붓다에게 자신을 드러내라고 하는 것은 칼에게 칼 자체를 자르라고 하거나,이빨더러 이빨 자체를 깨물라 하는 것과 같다. "붓다를 보고 싶습니다." "너는 바로 지금 그 분을 바라보고 있다" "그렇다면 왜 저에게는 그분이 안보이죠?" "왜 눈이 눈 자체를 보지 못하느냐?" 깨달음은 설법이나,설교를 통해서만이 아닌 마음과 마음을 통해서도 얻는다는 이른바 염화미소,염화가섭,이심전심,교외별전,불립문자의 종지를 드러내는 이야기로 인용된다. 이것이 송나라 이후 선(禪) 불교의 수행 방향과 근거를 제시하는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처염상정(處染常淨) 연꽃은 진흙탕 물을 뚫고 올라 오기에 그 빛깔은 서럽게 선연한지 모른다. 진흙에서 나오지만 진흙은 아니다. 물론 진흙속에서 왔으니 진흙이 없다면 그 꽃도 없다. 인과(因果).. 더보기 영화로 엿보는 시사 ----- Total Recall(토탈리콜) 시놉시스 서기 2084년. 어느 신도시에서 광산일을 하고 사는 퀘이드는 로리라는 미모의 아내와 행복하게 살아가지만 밤마다 이상한 꿈을 꾸게 된다.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화성에서 이름도 알 수 없는 갈색머리의 아내와 행복하게 살고 있는 것이 자꾸 꿈으로 나타나자 퀘이드는 리콜이라는 여행사를 찾아간다. 이곳은 싼값으로 우주 여행을 다녀온 것처럼 뇌 속에 기억을 이식시켜줌으로써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다.그러나 중복해서 이식을 받을 경우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데, 퀘이드 역시 이런 이유로 커다란 충격에서 깨어나 놀라운 사실들을 알게 된다. 지구의 식민지인 화성의 행정책임을 맡고 있는 코하겐은 지구의 혼란을 이용해서 화성을 자신의 왕국으로 삼고 독재를 마음껏 휘두른다. 오랫동안 코하겐의 오른팔로 일해오던 하우.. 더보기 거꾸로 역행하는 이 시대, 내가 꿈꾸는 가수 Tracy Chapman. 70년대 미국은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진보적 저항이 폭발하면서저간의 탄탄한 보수주의적 냉전 이데올로기와 충돌하며 내부 혼란이 심하던 시기였다.음악적으로 보면 60년대,대표적으로 밥 딜런,존바에즈등이 반전과 민권의 촛불을 노래하고 있었고이후 70년에 들어서 존 레논,밥 말리등 숱한 아티스트들은 보수적 서방체제와 자본주의 모순을고발하던 흐름이 강하던 시기였다.그러나 80년대 들어서 열린 레이건 시대는 보수이념과 보호무역을 근간으로 애국주의가 확고하게 들어섰다.신 냉전주의가 들어 선듯 보수와 극우노선은 공산주의와 최전선을 구축하며 당시 사회 전분야에서 썩은 현실을 개혁하고,저항하는 기운을 죽이기 시작했다.이러한 사정은 음악부문에도 영향을 끼쳐 시대에 순응하거나,현실 긍정적 노래가 주류를 차지하게 된다.마돈나의.. 더보기 (다시 본 Old Movie) 쇼생크 탈출---너의 길을 묻다 '쇼생크 탈출(The Shawshank Redemption)'의 원제목은 "쇼생크 구원"이다. 'redemption'은 구원을 뜻한다.아마도 한국에서는 흥행을 염두한 제목인것 같다. 이 영화에서 '탈출 이야기'가 전부는 아니다.탈출은 이야기의 부분이다. 앤디(팀 로빈스)는 감옥안에서도 끊임없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찾는다. 간수들의 세금문제,도서관 만들기,글을 가르치는...또 남모르게 탈출을 꿈꾼다. 감옥의 죄수들은 그런 앤디에게 '희망'을 보거나,'그 안에서의 자유'를 보았을 것이다. 그 '희망 혹은 자유'가 곧 구원(Redemption)과 이어진다. 어쩌면 탈출의 극적인 영화라기보다는 부단히 살아가는 이들에게 성찰을 요구하며 "너는 어떻게 살건데?"라는 질문을 던진다. 각각의 삶에게 '구원'의 방..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